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심리검사] MMPI - 2 검사 해석 방법

     

     

     

     

     

    MMPI - 2 검사를 해보셨나요?

    다음 해석방법을 통해 성격의 여러 방면을 분석해 보세요.


     

     

    [심리검사] MMPI - 2 검사 해석 방법
    [심리검사] MMPI - 2 검사 해석 방법



     

     
     

    목 차

    1. MMPI 검사란?

    2. MMPI 검사로 알 수 있는 정보

    3. 임상 척도

    4. 타당성 척도

    5. 1번 Hs 건강염려증 척도

    6. 2번 D 우울증 척도

    7. 3번 Hy 히스테리 척도

    8. 4번 Pd 반사회성 척도

    9. 5번 Mf 남성성 - 여성성 척도

    10. 6번 Pa 편집증 척도

    11. 7번 Pt 강박증 척도

    12. 8번 Sc정신분열증 척도

    13. 9번 Ma 경조증 척도

    14. 0번 Si 사회적 내향성 척도

    15. 임상 척도 코드 타입

    16. 기타 임상 척도

    17. 재구성 임상 척도(RC)

    18. 성격 병리 5 요인 척도

    19. 내용 척도

    20. 보충 척도

     

     

     

     

     

     

     

    MMPI  검사란?

     

     

    567개의 방대한 문항을 통해 성격의 여러 방면을 측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MMPI - 2(성인용)는 만 19세 이상의 성인,

    MMPI - A (청소년용)는 만 13 ~ 18세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합니다.

     

     

    MMPI  검사로 알 수 있는 정보

     

    √  정서적 불편감과 고통의 정도

    √  주요 증상

    √  수검자의 현재 기능 수준

    √  수검자의 성격 경향

    √  수검자의 문제 해결 전략

    √  수검자의 주요 방어기제

    √  수검자의 심리적 지원

     

     

     

    임상 척도

     

     

    MMPI - 2에는 다음과 같은 10개의 임상 척도가 있습니다.

     

    HS(1번/건강염려증)

    ▶  D(2번/우울증)

    ▶  Hy(3번/히스테리)

    ▶ Pd(4번/반사회성)

    ▶  Mf(5번/남성성-여성성)

    ▶  Pa(6번/편집증)

    ▶  Pt(7번/강박증)

    ▶  Sc(8번/조현증)

    ▶  Ma(9번/경조증)

    ▶  Si(0번/사회적 내향성)

     

     

    Pa(6번/편집증), Sc(8번/조현증), Ma(9번/경조증)이 수검자의 정신증적인 증상을 나타낸다면,

    HS(1번/건강염려증), Hy(3번/히스테리), Hy(3번/히스테리)은 수검자의 신경증적인 증상

    관련이 높습니다.

     

    T  점수 질적 분류 해  석
    T 75점 이상 매우 높은 점수 증상을 심각하게 나타내고 있음
    T 65점 이상 높은 점수 증상을 유의미하게 나타내고 있음
    T 55점 이상 약간 높은 점수 성격의 경향성이 나타남
    T 45점 이상 보통 점수 해석하지 않음
    T 45점 이하 낮은 점수 해석하지 않음

     

     

    대부분의 임상가들은 T 65점 이상을 임상기준으로 보고 있습니다.

    즉, T 65점 이상일 경우 해당 척도가 나타내는 증상을 임상 수준으로 경험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MMPI - 2에서 낮은 점수는 해석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대다수입니다.

    단, 5번 (Mf)와 0번 (Si) 은 낮은 점수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타당성 척도

     

     

    MMPI-2에는 9개의 타당도 척도가 있으며,

    3 범주로 묶어서 이해하시면 쉬울 거 같습니다.

     

    1. 얼마나 일관적으로 응답했는가?

    2. 얼마나 다르게 응답했는가?

    3. 얼마나 방어적으로 응답했는가?로 묶어 이해하면 쉬울 거 같습니다.

    타당도 척도는 크게 4가지를 알려줍니다.

     

    1. 수검자가 모든 문항을 이해하고 응답했는가?

    2. 수검자가 얼마만큼의 심리적 고통과 병리적 행동을 경험하고 있는가?

    3. 수검자가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잘 보이거나 나쁘게 보이려고 하는가?

    4. 수검자가 반응을 일관적으로 했는가?

     

    구   분 타당성 척도 내   용
    얼마나 일관적으로 응답하는가 ? ?  (무응답) 무응답으로 남겨둔 문항의 개수
    VRIN (무선반응 비일관성) '그렇다 / 아니다' 응답의 패턴이
    서로 일관적이지 않은 정도
    TRIN (고정반응 비일관성) '그렇다 / 아니다/ 응답이 문항과
    상관없이 한 방향으로 고정된 정도
    얼마나 다르게 응답하는가 ? F 전형적인 응답과 다르게
    반응한 정도
    F(B) 검사 후반부에서 전형적인 응답과
    다르게 반응한 정도
    F(P) 수검자가 정신병리 증상을
    과장한 정도 (faking bad)
    FBS 수검자가 정신병리 증상을 
    과장한 정도
    (faking bad)
    얼마나 방어적으로 응답하는가 ? L (부인) 가벼운 문항들에 '아니다'라고
    부인하는 정도
    K (교정) 보다 세련되고 교묘한 방어를
    하는 정도
    S (과장된 자기제시) 자신을 과다하게 긍정적으로
    제시 하려는 정도

     

     

     

    1번 Hs 건강염려증 척도

    Hypochondriasis

     

     

    이 척도의 주요 특징은 '건강에 대한 과도한 집착, 불안, 두려움과 신체증상에 대한 호소'입니다.

    이 점수가 높은 사람은 별다른 의학적 근거가 없는데도 다양한 신체증상을 호소합니다.​

     

     

     

    2번 D 우울증 척도

    Depression

     

     

     

    2번 척도가 높은 사람들은 불행하고 울적하며 축 처지고 가라앉은 느낌을 자주 느낍니다.

    2번(D) 척도는 기본적으로 수검자가 경험하고 있는 우울한 정서와 관련된 증상을 측정합니다. ​

    만약 2번과 7번이 함께 상승한다면 이들은 사소한 일에도 긴장하고 염려해 초조한 정서를

    경험하기 쉽습니다.

     

     

    3번 Hy 히스테리 척도

    Hysteria

     

     

    3번 척도가 높게 나오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방어기제는 억압(repress)과 부인(denial)입니다.

    부정적 감정을 통제하고 타인을 의식하는 데 에너지를 쓰느라 쉽게 지치고 피로감을 겪습니다. ​

     

    '히스테리아'는 본래 의학적 이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신체증상으로 전환되는 신경증을 나타내는

    정신분석 용어입니다.

     

    이 척도는 신체화 경향을 나타내는 1번 척도(Hs)와 높은 연관성을 가집니다.

    차이가 있다면 3번 척도(Hy)는 단순 신체증상보다는 자신을 긍정적으로 보이기 위해 지나치게

    방어하는 데서 오는 심인성 증상에 초점을 맞춘다는 점입니다.

     

     

    4번 Pd 반사회성 척도

    Psychopathic Deviate

     

     

    4번 척도는 반사회적인 특징, 즉 규범에 어긋나는 외현화 문제 행동을 일으키는

    경향을 측정합니다.

     

    이 척도가 임상 수준 이상으로 높게 상승하는 사람들은 대인관계에서 지속적인 갈등을

    일으킵니다.

     

    특히 학교나 직장처럼 규칙이 강조되는 분위기에서 규칙을 무시하고 권위자와 마찰을

    일으키므로 사회생활에 자주 부적응을 경험합니다.

     

     

    5번 Mf 남성성 - 여성성 척도

    Masculinity-Feminity

     

     

    5번 Mf 척도는 수검자의 성별에 따라 다르게 해석됩니다.

     

    원래 이 척도는 남성의 동성애 경향성을 측정하기 위해 만드어졌지만,

    여러 연구를 통해 성적 지향성과 본 척도의 상관이 높지 않다는 사실이 입증되었습니다.

     

    다른 임상 척도와는 달리 5번 척도는 점수가 높다고 해서 특정 진단을 예측하지 않습니다.

     

     

    6번 Pa 편집증 척도

    Paranoia

     

     

    6번 척도가 높은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세상과 타인에 대한 불신과 분노,

    원망이 많습니다.

     

    이들은 자신을 대하는 사람들의 시선, 말투, 사소한 태도도 놓치지 않고 주시합니다.

     

    6번 척도가 경미하게만 상승했다면 수검자는 조심성이 많고

    세심한 관찰자 같은 면이 있습니다. ​

     

     

    7번 Pt 강박증 척도

    Psychasthenia

     

     

    7번 점수가 높은 사람들은 불안, 긴장, 초조한 정서로 가득 차 있기 때문에 불안정하고

    예민하며 경직되어 있습니다.

     

    이들은 자신과 남을 판단하는 기준에서도 경직되어 있습니다.

     

    자신과 타인에게 높은 기준을 부여하고 기준에 도달하지 못할까,

    실수를 하지는 않을까 걱정하는 완벽주의자의 모습을 보입니다.

     

    사소한 실수에도 스스로를 비난하고 죄책감을 느껴 자신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자주 합니다. ​

     

    7번(Pt)은 2번(D)과 함께 수검자가 느끼는 심리적 고통을 잘 나타내는 지표로 여겨집니다.

     

     

    8번 Sc 정신분열증 척도

    Schizophrenia

     

     

    8번 척도는 크게 2가지 경향을 측정합니다.

     

    '수검자가 환각과 망상과 같은 정신증적 증상을 경험하고 있는가?'

    '수검자가 사회적으로 철수되어 있는가?' ​

     

    현실 검증력(실제와 공상의 구분), 지남력(시간과 공간 등 자신이 처한 상황에 대한 인식),

    판단력, 기억력, 사고력 등은 일상생활을 효율적으로 유지하는데 기본이 되는 사고체계입니다.

     

    8번 척도가 높다면 수검자의 사고체계에 어려움이 있다는 뜻이므로 해석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9번 Ma 경조증 척도

    Hypomania

     

     

    9번 척도가 높게 나온 사람들은 과하게 활동적입니다.

     

    이 점수가 약간만 높고 다른 프로파일에

    문제가 없다면 이들은 에너지 수준이 높은 열정적인 사람으로 평가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점수가 임상 수준 이상으로 매우 높다면 수검자는 상황에 맞지 않게 과하고,

    비현실·비계획적이며, 말이 많고 흥분을 잘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또한 이들은 상황과 자신에 대한 평가가 매우 비현실적입니다.

     

     

    0번 Si 사회적 내향성 척도

    Social Introversion

     

     

    수검자의 내향적 경향성을 측정합니다.

     

    이 척도에서 높은 점수를 받을수록 수검자는 높은 내향성을 나타내고,

    반대로 낮은 점수는 상대적으로 외향적인 경향을 가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임상 척도 코드 타입

     

     

    10개의 임상 척도가 있다고 해서 10개의 해석만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MMPI는 임상 척도들의 조합을 통해 수검자를 풍부하게 그려내는

    코드 타입 해석을 제공합니다.

     

    투 코드는 가장 높게 상승한 두 척도의 조합이고,

    쓰리 코드는 가장 높게 상승한 세 코드의 조합입니다.

     

    코드 타입 해석에서 중요한 건 '코드로 묶인 척도와 다른 척도 사이의 변별력'입니다.

     

    즉, 코드로 묶이지 않은 척도는 코드 척도보다 뚜렷하게 낮아야 합니다.

    기준은 5점 이상입니다.

     

    어떤 척도가 함께 상승했는지에 따라 수검자의 증상과 성격의 경향을 보다

    면밀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코드해석의 방법

     

    임상 척도 중 가장 높게 나온 2개의 척도(혹은 3개의 척도)가 모두 해석

    가능한 수준(T 65 이상) 으로 상승했고, 나머지 척도들도 5점 이상의 점수 차이가

    난다면 코드 타입 해석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1번(Hs)=T 70, 3번(Hy)=T 69인 상황에서 세 번째로 높게 나온 척도가

    T 64점(Hy=69보다 5점 이상 작은 점수) 보다 작다면,

    1-3 코드 타입으로 해석할 수 있다. 3번이 1번보다 높으면 3-1 코드라고

    순서를 바꿔 부릅니다.

     

    그러나 해석은 거의 같아, 코드는 가장 높게 나온 두 척도를 따라 투 코드,

    가장 높게 나온 세 척도를 따라 쓰리 코드까지 해석이 가능합니다.

     

    단, 코드로 뽑힌 척도끼리 점수 차이가 10점 미만이어야 합니다.

     

     

    기타 임상 척도

     

    MMPI에는 타당도 척도와 10개의 주요 임상 척도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척도가 있습니다.

    기타 임상 척도로는 10개의 재구성(RC) 척도, 5개의 성격 병리 5 요인 척도,

    15개의 내용 척도, 15개의 보충 척도가 있습니다.

     

    기타 임상 척도는 주요 임상 척도와의 관계성을 통해 해석하는 것이 좋습니다.

     

     

    재구성 임상 척도 (Rc)

     

     

    앞서 살펴본 임상 척도들은 해당 척도가 높을 경우 수검자가 특정한 증상을 가지고 있다고

    예측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그렇지만 실제 검사를 해보면 해당 척도가 높아도 척도가 말하는 특정 증상과 진단을

    보이지 않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

     

    예를 들어, 2번 척도와 관련된 문항들이 일반적인 정서적 고통, 불안, 불행감,

    의기소침함 등을 함께 재고 있기 때문에 2번 척도(D)가 높다고 해서

    수검자가 우울장애가 있다거나 우울한 성격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확언할 수 없습니다.

     

    RC 척도는 이러한 임상 척도의 대표성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RC1부터 RC9까지의 재구성 임상 척도는 각 번호에 상응하는 임상 척도가 나타내는

    대표적이고 핵심적인 특징을 측정합니다. ​

     

    RC 척도는 T-65 이상일 경우 해석하며,

    RC6과 RC8을 제외하고는 낮은 점수도 해석할 수 있습니다.

     

     

    RC 척도 약어(영문명) 이 름 내 용
    RCd dem(demoralization) 의기소침 전반적인 불행감과 불만족감
    RC1 som(somatic complaints) 신체증상 호소 다양한 신체증상을 호소함
    RC2 lpe(low positive emotion) 낮은 긍정 정서 긍정적 정서
    (즐거움, 기쁨 등)의 결여
    RC3 cyn(cynicism) 냉소적 태도 타인에 대한 냉소적 신념,
    불신을 보고함

    주의) RC3은 점수가 낮을 경우
    3번 척도(Hy)의
    '부정 정서를 부인하고
    타인에 대해 지나치게
    낙관적인 태도를 반영함
    RC4 asb(antisocial behavior) 반사회적 행동 다양한 반사회적 행동을 보고함
    RC6 per(antisocial behavior) 피해의식 타인에게 피해
    (학대, 이용, 착취 포함)을
    당하고 있다는 피해적 사고를
    보고함
    RC7 dne(dysfunctional negative
    emotions)
    역기능적 부정 정서 다양한 부정적 정서
    (불안, 분노, 공포, 죄책감,
    긴장 등)를 경험함
    RC8 abx(aberrent experiences) 기태적 경험 비현실적이고 특이한 경험
    (생각, 감각, 지각 포함)을
    보고함
    RC9 hpm(hypomatic activation) 경조증적 상태 과잉 활동성과 다양한
    경조증적인 특성 (행동, 정서,
    인지, 태도 등)을 보고함

     

     

    성격 병리 5 요인 척도

     

    T-65 점 이상일 경우 수검자가 해당 성격의 경향을 높게 가지고 있다고 해석합니다.

     

    AGGR : 공격성 / PSYC : 정신증 / DISC : 통제결여 / NEGE : 부정적 정서성 / INTR : 내향성

     

     

    내용 척도

     

     

    15개의 내용 척도는 불안, 공포, 강박성, 우울, 건강 염려, 기태적 정신 상태, 분노,

    냉소적 태도, 반사회적 특성, A 유형 행동, 낮은 자존감, 사회적 불편감, 가정문제,

    직업적 곤란, 부정적 치료 지표를 측정합니다.

     

    T 65점 이상일 때 해석 가능합니다.

     

    ANX : 불안 / FRS : 공포 / OBS : 강박성 / DEP : 우울 / HEA : 건강염려 /

    BIZ : 기태적 정신 상태 / ANG : 분노 / CYN : 냉소적 태도 / ASP : 반사회적 특성 /

    TPA : A 유형 행동 / LSE : 낮은 자존감 / SOD : 사회적 불편감 / FAM : 가정 문제 /

    WRK :직업적 곤란 / TRT : 부정적 치료 지표

     

     

    척도

     

    15개의 보충 척도는 불안, 억압, 자아 강도, 지배성, 사회적 책임감, 대학생활 부적응,

    외상 후 스트레스, 결혼생활 부적응, 적대감, 적대감 과잉통제, 알코올 중독(3종),

    남성적·여성적 성역할을 측정합니다. ​

     

    다양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 만큼 보충 척도를 잘 살펴보면 수검자에 대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매뉴얼은 T 65점 이상을 높은 점수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보충 척도는 뚜렷한 절단점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점수가 T 60~65점 이상으로 높을 때

    수검자가 해당 특성을 강하게 가지고 있다고 해석합니다.

     

    A : 불안 / R : 억압 / Es : 자아강도 / Do : 지배성 / Re : 사회적 책임감 / Mt : 대학생활 부적응 /

    PK :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 MDS : 결혼생활 부적응 / Ho : 적대감 / O-H : 적대감 과잉통제 /

    MAC-R : MacAndrew의 알코올 중독 / AAS : 중독 인정 / APS : 중독 가능성 /

    GM : 남성적 성역할 / GF : 여성적 성역할

     

     

     

     

    마무리...

    지금까지 심리검사 MMPI - 2 검사 해석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렸습니다.

     

    심리평가는 전문적 지식을 갖고 있는 전문 자격증 소지자만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글은 참고용으로 재미있게 읽으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이상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4.03.16 - [각종 정보] - 재난적의료비 지원사업 (지원범위,지원절차)

     

    재난적의료비 지원사업 (지원범위,지원절차)

    재난적 의료비 지원사업 (지원범위, 지원절차) 과도한 의료비 지출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국민들에게 건강보험이 보장하지 않는 부분에 대해 의료비 '일부'를 지원하는 재난적 의료비 지원사

    chemilog100.com

    2024.03.04 - [각종 정보] -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방법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방법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방법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제도란? 주택난방용 도시가스 요금제 사용자를 대상으로 동절기 도시가스 사용량 감축을 위해 운영하는 제도로 동절기(12월 ~ 3월) 동안 전년도

    chemilog100.com

    2024.02.16 - [각종 정보] - 서울 기후동행카드 신청, 사용방법 정리

     

    서울 기후동행카드 신청, 사용방법 정리

    서울 기후동행카드 신청, 사용방법 정리 기후동행카드란? 1회 요금 충전으로 30일간 대중교통(지하철, 버스), 따릉이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입니다. 목 차 1. 기후동행카

    chemilog100.com

    반응형